리눅스 환경에서 소스 코드 버전 관리 시스템인 Subversion(SVN)을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을 다루는 이 포스트에서는 VisualSVN과 같은 윈도우 전용 서버 솔루션이 아닌, 리눅스 환경에서의 설치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Subversion 설치
먼저 리눅스 시스템에서 Subversion을 설치해야 합니다. Subversion은 SVN라고도 불리며, 개발자들이 소스 코드의 이전 버전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
리눅스에서는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여 Subversion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udo dnf install subversion mod_dav_svn
여기서 'mod_dav_svn'은 무엇일까요?
이는 Apache HTTP 서버 모듈로, HTTP 및 HTTPS 프로토콜을 통해 Subversion 지원을 제공합니다.
이 모듈은 Subversion 패키지의 일부로, Apache HTTP 서버를 이용하여 Subversion 서버를 설정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mod: Apache HTTP Server의 기능은 모듈을 사용하여 확장됩니다.
- dav: "Distributed Authoring and Versioning"를 나타내는 HTTP 프로토콜의 확장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웹 콘텐츠 작성 작업을 원격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해줍니다.
- svn: 이 모듈이 Subversion을 위한 것임을 나타냅니다.
Apache가 아직 설치되지 않았다면, sudo dnf install httpd를 사용하여 Apache를 설치해야 합니다.
SVN 저장소 생성 및 설정
다음으로, Subversion 저장소를 생성하고, 해당 저장소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sudo mkdir -p /var/www/svn
sudo svnadmin create /var/www/svn/repo
sudo chown -R apache:apache /var/www/svn/repo
위의 명령어를 통해 '/var/www/svn'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그 안에 'repo'라는 이름의 SVN 저장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chown' 명령어를 이용해 해당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Apache 서버에 부여했습니다.
이후, Apache 설정 파일을 편집하여 SVN 저장소에 웹 기반 접근이 가능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sudo vi /etc/httpd/conf.d/subversion.conf
이 명령어는 Apache의 설정 파일인 'subversion.conf'를 열어 수정할 수 있게 합니다. 아래와 같이 입력 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Location /svn>
DAV svn
SVNPath /var/www/svn/new_repository
AuthType Basic
AuthName "Subversion Repository"
AuthUserFile /etc/svn-users
Require valid-user
</Location>
LoadModule dav_svn_module modules/mod_dav_svn.so
사용자 생성 및 추가
Subversion 사용자를 생성하고 추가하려면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첫 등록
sudo htpasswd -cm /etc/svn-users username
추가
sudo htpasswd -m /etc/svn-users username
첫 번째 명령어는 SVN 사용자를 생성하고, 두 번째 명령어는 기존 사용자를 SVN 사용자 목록에 추가합니다.
방화벽 설정
다른 컴퓨터에서 SVN 서버에 접근하려면, 방화벽에서 HTTP(80) 포트와 HTTPS(443) 포트를 허용해야 합니다.
sudo systemctl status firewalld
sudo systemctl start firewalld
sudo systemctl enable firewalld
sudo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80/tcp --permanent
sudo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443/tcp --permanent
sudo firewall-cmd --reload
sudo firewall-cmd --zone=public --list-ports
커밋 권한 설정
최종적으로, 저장소에 대한 사용자의 커밋 권한을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authz' 파일을 수정합니다.
sudo nano /var/www/svn/authz
[groups]
devs = john, jane, jill
[/]
@devs = rw
*= r
여기서 'devs'는 사용자 그룹을 나타내며, 'john', 'jane', 'jill'은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입니다. 그룹 'devs'는 읽기/쓰기(rw) 권한을 가지고, 모든 다른 사용자('*')는 읽기(r) 권한만 가집니다.
추가 포트 변경
필요에 따라 Apache의 기본 리스닝 포트를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지만, 이를 다른 포트로 변경하려면 Apache의 설정 파일을 편집해야 합니다.
sudo vi /etc/httpd/conf/httpd.conf
이후, 'Listen 80'을 찾아 원하는 포트 번호로 변경합니다. 예를 들어, 'Listen 3690'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SELinux가 활성화된 시스템에서는 해당 포트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므로, 'sudo setenforce 0'를 사용하여 SELinux를 임시로 비활성화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리눅스에서 Subversion을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제 외부에서 TortoiseSVN과 같은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SVN 서버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무리 및 트러블슈팅
추가적으로, 모든 변경사항이 적용되도록 Apache 서버를 재시작해야 합니다. 이는 sudo systemctl restart httpd 명령어를 통해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Subversion을 사용하여 코드의 버전 관리를 시작할 준비가 완료된 것입니다.
혹시라도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부분의 문제는 사용 권한 문제나 방화벽 설정 문제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대게 적절한 권한 할당이나 방화벽 포트 설정을 통해 해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설치 중에 문제가 발생했다면, 오류 메시지를 주의 깊게 확인하고 해당 메시지를 기반으로 문제를 해결해보세요. 또한, 서버 로그를 확인하여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습니다. Apache 서버의 로그는 일반적으로 '/var/log/httpd/'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습니다.
리눅스에서 Subversion을 사용하면, 여러 개발자가 동일한 코드 베이스에서 작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각 개발자는 코드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필요한 경우 이전 버전으로 롤백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팀 내의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프로젝트의 성공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Subversion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Subversion 공식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마지막으로, 이 가이드가 리눅스 환경에서 Subversion을 설치하고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다양한 플랫폼과 환경에서 개발 작업을 수행하는 데 Subversion이 얼마나 유용한 도구인지에 대해 알게 되셨기를 바라며, 그 결과로 여러분의 개발 능력이 더욱 향상되기를 기대합니다.
Development
Development Today's development 2023 TypeScript 제네릭 Generics [2023] Tomcat 버전을 7.0에서 9.0으로 올리고 프로젝트를 실행하니 발생한 오류와 해결 방법 2023 Node.js 기본 사용 방법: 설치부터 간단한 실행까지 2
www.wooyit.com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bero 서비스를 systemd로 관리하기: 리눅스에서 자동 재기동 설정하기 (0) | 2023.07.07 |
---|---|
리눅스에서 Tibero 데이터베이스 설치 및 자동 시작 설정 가이드 (0) | 2023.07.06 |
레드햇(Red Hat) OS 설치 및 기본 설정 (1) | 2023.07.06 |
레드햇 OS 설치를 위한 부팅 USB 생성 (0) | 2023.07.05 |
JDK 1.8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가이드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