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레드햇 OS를 설치하고 기본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레드햇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리눅스 배포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서버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하며, 풍부한 패키지와 커뮤니티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Step1: 부팅 USB 생성 및 부팅
먼저 이전 포스트에서 소개했던 부팅 USB를 이용하여 PC를 부팅합니다. 이 과정에서 레드햇 OS의 ISO 이미지 파일을 USB에 적절하게 복사하고, 부팅 순서를 변경하는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2023.07.05 - [환경설정] - "레드햇 OS 설치를 위한 부팅 USB 생성 가이드"
"레드햇 OS 설치를 위한 부팅 USB 생성 가이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레드햇 OS 설치를 위한 부팅 USB 생성 과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우리는 레드햇 OS 설치 이미지를 USB에 옮겨 부팅 디스크를 만들게 됩니
lyong88.tistory.com
#Step2: 레드햇 설치
다음은 차례대로 설치를 진행합니다. 설치 중 'Network & Hostname' 메뉴에서 Ethernet 사용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는 인터넷 연결을 통해 추가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업데이트를 진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Step3: 로그인
설치가 완료되면 'root' 사용자와 설치 과정에서 설정한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로그인합니다. 'root'는 리눅스에서 가장 권한이 높은 사용자로, 시스템 설정을 변경하거나 패키지를 설치하는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Step4: 패키지 매니저 연결
레드햇 OS에서 패키지를 다운로드하려면 레드햇의 패키지 매니저와 연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sudo subscription-manager register --username 'username' --password 'password'
여기서 'username'과 'password'는 레드햇 홈페이지에서 생성한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그런 다음에는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시스템을 레드햇에 등록합니다.
sudo subscription-manager attach --auto
#Step5: 패키지 업데이트
마지막으로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여 패키지를 업데이트합니다.
sudo yum update
'Yum'은 레드햇에서 사용하는 패키지 관리자로, 이를 통해 다양한 패키지의 설치, 삭제, 업데이트 등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이로써 기본 설정은 완료된 것입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이렇게 설치한 레드햇 OS 위에서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Development
Development Today's development 2023 TypeScript 제네릭 Generics [2023] Tomcat 버전을 7.0에서 9.0으로 올리고 프로젝트를 실행하니 발생한 오류와 해결 방법 2023 Node.js 기본 사용 방법: 설치부터 간단한 실행까지 2
www.wooyit.com
'환경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에서 Tibero 데이터베이스 설치 및 자동 시작 설정 가이드 (0) | 2023.07.06 |
---|---|
리눅스에서 Subversion(SVN) 설치 및 구성 가이드 (0) | 2023.07.06 |
레드햇 OS 설치를 위한 부팅 USB 생성 (0) | 2023.07.05 |
JDK 1.8 설치 및 환경 변수 설정 가이드 (0) | 2023.07.03 |
리눅스에서 Nexus Repository Manager 설치 및 설정 가이드 (0) | 2023.07.03 |